"https://www.example.com/url/to/amp/document.html"> 자기 성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기 성찰

by 영혼의 닻을 찾아서 2024. 11. 12.
728x90
반응형

< 자기 성찰 >

나는 어떤 사람일까?  
스스로에 대하여 아는 것 만큼 중요한게 있을까?

자기가 어떤 사람인지 본인은 잘 모른다.
나이가 들어 갈수록 더 모른다.

베이비 세대는 교육을 받고 성공의 과일을 따본 최초의 우리나라 서민들이다. 
그래서 이렇게 말한다.

 "라떼는 ~ "

 

 하라는 공부하고 시키는 일을 해서 먹고 살만큼 된 세대들이기 때문에 자기 자신에 대해서 더 모른다.

 우리 나라 노인 빈곤이 심각하다지만 베이비 붐 세대로 올 수록 노인 빈곤 수치가 낮아진다.

 베이비 붐 세대 이전이 30% 정도라면 베이비 붐 세대는 20%가 안된다.

 

  가끔 지나치게 자신감이 넘치는 베이비 붐 세대를 만날 때가 있다.

  대략 난감 ~

  한번은 택시를 탔는데 건물이 몇채고 어쩌구 저쩌구 ~ 그게 jinnssam하고 무슨 상관이람?

  하물며  MZ세대는? 

 무슨 상관이 있을까.

 

 그동안 jinnssam도 앞만 보고 달리면서 옆을 돌아 보지 않은 것 같다.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을 잘 이해하지 못한 것 같다. 혹여 이해 했다 하더라도 이해만 했지 실제 상황을 잘몰랐던 거 같다.

 실제 상황에서는 소통이 안되는 철벽녀.

 이런 jinnssam에게는 자아 성찰이 정말 필요하다.

 "응 그려. 똑똑해."

 이런 소리 그만 들으려면 실제적인 자아 성찰이 필연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 

 

 자기 성찰.

 우선 인터넷에서 정확한 사전적 의미를 찾아 보았다.

 인터넷 위키 백과에서는 이렇게 표현 하였다.

 

자기성찰

 자성(自省)으로 잘 알려진 자기성찰(Introspection)은 자기 자신의 마음을 돌아보며 반성하고 살피는 일련의 행동이다. 이러한 자기성찰적(自己省察的)인 행동은 학습자가 자신의 정체성과 성격에 대한 내면을 인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회적 맥락 속에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즉 자기 개념(self-concept)을 전제하고 재형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자기 성찰을 통하여 자기 개념을 다시 정립해야 한다.

  뭐든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고 하였다.

 

 그러면 자기 성찰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것도 인터넷에서 찾아서 가져 왔다..

 자기 인식(self-awareness)은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 행동, 가치관 등을 명확히 파악하는 능력을 말해요. 자기 인식이 향상되면 자신에게 더 솔직해지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인간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자기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과 실천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자기 성찰의 시간 가지기

 

 자기 인식을 높이기 위한 첫 단계는 자기 성찰이에요. 자기 성찰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되돌아보는 시간으로, 스스로에게 정직하게 다가가는 방법입니다.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느끼고, 왜 그런 결정을 내렸는지 등을 깊이 탐구하는 과정이죠.

 

실천 방법

  • 일기 쓰기: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하루를 돌아보며 느낀 감정, 생각, 행동 등을 기록해보세요. 일기를 통해 자신의 감정 패턴과 행동 동기를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요.
  • 정기적인 자기 점검: 매주 혹은 매월 자신에게 질문을 던져보세요. "이번 주 나는 무엇을 잘했을까?", "내가 더 발전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일까?" 이런 질문들이 자기 성찰을 도와줄 수 있어요.

2. 자신의 강점과 약점 파악하기

 자기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정확히 알고 인정하는 것이 자기 발전의 출발점이에요.

 

실천 방법

  • SWOT 분석: 자신에 대한 SWOT 분석(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작성해보세요. 강점과 약점을 적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더 발전시킬 기회를 찾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피드백 수용: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강점과 개선할 부분에 대해 피드백을 요청해보세요. 객관적인 피드백은 자신을 더 명확히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돼요.

3. 감정 인식 훈련하기

 자기 인식은 감정을 이해하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어요. 자신의 감정을 명확히 인식하고, 그 감정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파악하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고, 더 건강한 감정 조절이 가능해져요.

 

실천 방법

  • 감정 라벨링: 매일 느끼는 감정을 단어로 표현해보세요. 예를 들어, "오늘 나는 좌절감을 느꼈어" 또는 "지금 나는 기쁨을 느끼고 있어"와 같이 감정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 중요해요. 이를 통해 감정을 더 잘 이해하고 다스릴 수 있어요.
  • 감정 일기: 특정 감정을 강하게 느낀 날에는 그 감정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어떤 상황에서 비롯되었는지를 기록해보세요.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가치관 탐구하기

 자기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가치관을 탐구하는 것이 중요해요. 가치관은 우리의 행동과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아는 것이 필요해요. 자신의 가치관이 명확할수록 목표 설정과 의사결정이 더 쉬워지고, 삶의 방향성을 더 잘 잡을 수 있어요.

 

실천 방법

  • 가치관 리스트 작성: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들을 리스트로 만들어보세요. 예를 들어, "정직", "자유", "성장"과 같은 단어들을 나열하고, 이러한 가치들이 자신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세요.
  • 우선순위 정하기: 나열한 가치들 중 가장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우선순위를 정해보세요.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의 방향성을 더욱 명확히 할 수 있어요.

5. 타인의 관점 수용하기

 자기 인식은 타인의 시선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능력과도 관련이 있어요. 우리는 종종 자신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타인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해요.

 

실천 방법

  • 타인의 피드백 받아들이기: 친구나 동료, 가족에게 자신의 행동이나 결정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고, 이를 받아들이는 연습을 해보세요. 이를 통해 자신이 몰랐던 새로운 면을 발견할 수 있어요.
  • 거울 효과 활용하기: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세요. 타인의 행동에 대한 판단이 자신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면, 더 깊이 있는 자기 인식이 가능해져요.

6. 명상과 마음 챙김 연습하기

**명상과 마음 챙김(Mindfulness)**은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에요. 이 연습을 통해 자신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감정과 생각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어요. 꾸준한 마음 챙김 연습은 자기 인식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줘요.

 

실천 방법

  • 매일 명상 시간 가지기: 하루 10~15분 동안 조용한 공간에서 명상을 해보세요. 자신의 호흡에 집중하고, 생각이 떠오를 때 이를 받아들이되 집착하지 않는 연습을 해보세요.
  • 마음 챙김 일상화하기: 하루 중 틈틈이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그 순간에 어떤 감정이 들고 있는지를 스스로 인식해보세요. 이를 통해 현재의 자신에 대한 인식이 더 깊어질 수 있어요.

결론

 자기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은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리며, 인간관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자기 성찰, 감정 인식, 가치관 탐구, 타인의 피드백 수용, 명상 등을 통해 자기 인식을 높여보세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솔직해지고, 더 나은 삶을 위한 방향성을 확립할 수 있을 거예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