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작고 분명한 성공들을 기억해 보아요 [책&생각]
힌겨레
성공이란 무엇인가 이성표 지음, 베시 앤더슨 스탠리 원작 l 보림(2023)
나는 ‘성공’이 라는 낱말을 어린이와 거리가 먼 것으로 여겨왔다.
수많은 자기계발서 제목에서 성공은 ‘리더’ ‘법칙’ ‘부’ ‘습관’ 같은 낱말과 나란히 쓰인다. 그야 그러려니 하는데, 이 책들이 ‘어린이를 위한’ 책으로 요약된 것을 보면 걱정이 되는 게 사실이다.
나 자신은 종종 시간 관리에 대한 자기계발서를 찾아보는 독자이지만, 어린이가 읽는다고 생각하면 역시 어색하다. 어린이가 ‘성공한 인생’만이 가치 있는 인생이라고 생각할까 봐 조마조마하다.
[책&생각] 작고 분명한 성공들을 기억해 보아요© 제공: 한겨레
조금 미심쩍어하며 ‘성공이란 무엇인가’를 펼쳤다가, 성공에 대한 첫 번째 정의에서 그만 민망해졌다.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 호랑이와 어린이 들이 크게 웃으며 펼침면을 채우고 있다.
이어지는 정의들은 이렇다.
“이웃에게 존경받고” “어린아이들에게 사랑받는 것” 조용히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것, 마음이 아픈 사람 곁에 있어 주는 것도 성공이다.
원래 ‘성공’은 목적한 바를 이룬다는 뜻으로 쓰이는 낱말인데 왜 나는 자본주의적인 것, 과시적인 것으로 지레짐작했을까.
그게 내가 생각하는 ‘성공’은 아니었나 싶어 뜨끔했다.
이 그림책은 베시 앤더슨 스탠리의 원작 시 ‘What is success?’를 이성표 작가가 재해석해 완성한 작품이다.
문장이 서정적이면 다소 모호하게 느껴지기 쉬운데 이 그림책은 소박하고 따뜻한 그림으로 인해 글이 부드럽게, 안정적으로 읽힌다.
처음부터 끝까지 소리 내어 읽으면 시적 운율을 느낄 수 있다. 어른의 목소리로 한 번, 어린이의 목소리로 한 번 시를 읊듯 읽어보기를 권한다. 읽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마음이 차분해진다.
한 해가 저물어 갈 때면 어린이는 어른들로부터 내년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초등학생이 되면, 4학년이 되니까, 몇 살이니까 이러저러하게 달라져야 한다는 당부를 듣게 마련이다.
어떤 어린이는 새해를 결심과 기대로 맞이하지만 누군가는 벌써 걱정과 한숨으로 땅이 꺼지는 기분일 것이다.
올 연말에는 어린이들과 ‘1년 동안 성공한 것’들의 목록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혼자서 단추를 다 채운 것, 수학학원 레벨 테스트를 통과한 것, 학교에 혼자 간 것도 좋다. 우산을 펴고 접을 줄 알게 된 것이나 방송 댄스의 어려운 안무를 결국 해낸 것도 좋다.
혹시 성공의 목록이 빈약하다 싶으면 급조해도 된다.
줄넘기 연속 100개가 어려웠다면 열 개씩 열 번 하는 것으로 고치는 것이다.
독서교실 어린이들과는 그럴 때 짧은 시를 몇 편 외우기도 한다.
어린이에게는 “넌 무엇이든 할 수 있어!” 하는 형식적인 말보다, 작고 분명한 성공을 일일이 기억하는 쪽이 훨씬 격려가 된다는 걸 잊지 말자.
이런 성공에 대한 격려는 어른에게도 필요하다.
이 책의 마지막 문장이 힌트를 줄 것이다.
“내가 잠시 이곳에 살았기 때문에/ 한 사람이라도 행복해지는 것”.
어린이와 함께 행복했던 순간을 짚어보면 좋겠다. 어린이도 어른도 비로소 내년 계획을 세우기가 수월해질 것이다.
김소영 독서교육전문가

요즈음 주변에서 보면 투자인지 투기인지 모를 일을 해서 돈을 많이 모은 사람을 성공한 사람이라고 하고 또 그렇게 부자가 된 사람들을 부러워 한다.
돈이 많다는 게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과연 그런 것만이 성공일까?
수많은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 정치적으로 성공한 사람이나 또 전문적인 직업을 통하여 크게 성공한 사람들에게 성공했다는 말을 할 수 있으리라.
그렇지만 있는 자리에서 다 나은 사람이 되는 것.
더 나은 사람은 어떤 사람이 되어야만 더 나은 사람이 되었다고 표현할 수 있을까?
자신 뿐만 아니라 주변에 함께 하는 사람들을 조금이라도 도와가는 사람들을 더 나은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폰을 정리하다가 보니까 이런 내용이 저장 되어 있었다.
여기 올려 봐야겠다.
<성공의 계단 >
1. 자신이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고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한다.
2. 마음 먹은 것을 꼭 실행한다. 그리고 일단 시작한 일을 꾸준히 한다.
3. 무엇을 하든 나의 기준과 원칙이 있고 그 선을 지킨다.
4. 노력해서 성공한 작은 경험들이 있으며 그런 경험을 계속 더해간다.
5. 내가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알고 있으며 막연한 한방을 기대하지 않는다.
6. 현실적인 목표를 세울 줄 알고 그에 맞춰서 계획을 세우고 조정한다.
7. 성공이라는 계단에 자신을 올려 놓고 착실하게 한 계단씩 올라간다.
8. 작은 계획과 목표에 도달한다.
기도는 이 모든 과정을 돕는이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이렇게 기도하는데 하나님이 외면하실까? 하나님은 우리의 잘못된 기도를 고쳐 주시고 제대로 기도하도록 이끌어 주신다. 하나님은 사랑이시고 우리를 정말 사랑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