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영화 이야기 57

마음이 따뜻해지는 영화 ~ 리치 인 러브, 메리 미, 라스트 홀리데이

예전에는 마음이 힘들면 책을 읽었었다. 바빠도 책을 읽고 스트레스 쌓이면 책을 읽고 책속에 빠져도 시간을 잊고 나면 스트레스가 무엇이었는지 생각이 나지 않고 바쁠 때는 얼마나 바빴는지 잊어버리고 힘든 마음을 잊었다. 요즈음은 책을 읽으려고 애쓰지만 예전처럼 진득이 멈춰서 책을 읽지를 못한다. 대신 아무생각 안하려고 영화를 본다. 무섭지 않고 재미있고 마음이 뜨뜻해지는 영화 로맨틱 코매디 같은 영화를 찾아서 본다. 어제는 영화를 고르느라 요약본을 읽었는데 그러다보니 1시간 30분이 지나갔다. 영화 한편을 볼 시간을 영화 찾느라 보낸 것. 그러다 영화 한편을 골랐는데 예전에 한번 보았던 영화다. 보았던 영화라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보게 되고 결국은 끝까지 보았는데 역쉬나 감동때문에 잘 보았다는 흐믓함이 가득..

영화 이야기 2022.11.15

뷰티 인 사이드

남자, 여자, 아이, 노인.. 심지어 외국인까지! 자고 일어나면 매일 다른 모습으로 변하는 남자, ‘우진’. 그에게 처음으로 비밀을 말하고 싶은 단 한 사람이 생겼다. 드디어 D-DAY! ‘우진’은 그녀에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기로 하는데… “초밥이 좋아요? 스테이크가 좋아요? 사실.. 연습 엄청 많이 했어요. 오늘 꼭 그쪽이랑 밥 먹고 싶어서…” 최고의 감상평 : 내가 본 이 영화의 주제는 "내면이 외면보다 중요하다" 가 아닌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오늘과 내일의 모습이 달라도 계속 사랑할 수 있을까?" 란 작은 질문. 출연진 백종열감독 한효주주연 김대명출연 도지한출연 배성우출연 박신혜출연 ◐ 요즘 또순이 남동생 똘이에 대하여 자주 생각한다. 똘이는 사관학교를 졸업하던 해 간호 사관학교를 졸업한 올케랑..

영화 이야기 2022.08.01

로마의 휴일

출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마의 휴일》(-休日, Roman Holiday)은 윌리엄 와일러 감독, 오드리 헵번, 그레고리 펙 주연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1953년에 흑백 영화로 제작되었다. 줄거리 로마를 방문한 어느 나라의 공주 앤(오드리 헵번)은 꽉 짜인 스케줄에 진력이 나서 어느날 밤 남몰래 숙소인 대사관을 빠져 나가지만, 시의(侍醫)가 놓아 준 진정제 주사가 효과를 나타내어 벤치에서 깜박 잠들고 만다. 우연히 그곳을 지나가게 된 미국의 통신기자 조(그레고리 펙)는 그녀를 숙소로 옮겨 편히 자게 하는데, 이튿날 그녀가 공주임을 알게 되자 즐겁게 로마를 관광하면서도 친구인 사진사를 시켜 그녀 몰래 사진을 찍게 한다. 하지만 그녀에게 은밀한 애정을 품기 시작한 그는 기자회견 때 ..

영화 이야기 2022.06.07

엽기적인 그녀

출처 : 위키백과에서(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엽기적인 그녀》 대한민국에서 2000년 출간된 책이자 2001년 개봉한 동명의 영화 제목이다. 온라인으로 연재된 연애 회고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책은 연재분을, 영화는 연재분과는 차이를 보이는 각색된 내용을 담고 있다. 영화의 경우 곽재용이 감독, 차태현, 전지현이 주연했으며, 로맨틱 코미디를 표방한다. 원래의 내용은 "견우74"라는 필명의 작가가 자신의 연애담을 1999년 8월부터 나우누리 유머란에 연재한 것이며, 총 51회의 연재로 되어있다. 《엽기적인 그녀》라는 제목은 연재물에서 그녀를 만나는 과정인 1-3회의 제목으로부..

영화 이야기 2022.06.06

어바웃 타임

길고 긴 인생인 것 같지만, 우리 기억에 아로 새겨지는 날은 그렇게 많지 않다. 특히 아름답고 즐거운 날로 기억되는 날이 얼마나 될지. 어바웃 타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아버지와 아들이 바닷가를 달려가는 장면이 선명하게 남아 있어서 어바웃 타임의 마지막 장면인 줄 알았다. 그렇지만 그 다음에도 스토리는 이어져서 매일 매일이 얼마나 소중한지, 매일 매일을 위대한 날로 소중한 날로 보내야 한다는 것. 또 아버지가 아들에게 말해준 첫번째 규칙. 평범한 날들을 보내면서 주어진 평범한 날들 속에서 즐거움을 찾으라는 규칙. 두번째 규칙은 매일 매일을 소중히 여기라는 것.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평범한 일들을 얼마나 소중히 여겨야 하는지, 또 얼마나 매일 매일을 감사하면서 보내야 하는지, 종종 잊을 때가 없는지..

영화 이야기 2022.05.08

우리는 동물원을 샀다.

출처 : 디즈니 앱에서 드라마, 가족, 동물/자연 내용 : 혼자 아이들을 키우는 아버지가 가족의 새로운 시작을 위해 동물원 한가운데 있는 집으로 이사를 간다. - 우리 아빤 모험에 관한 글을 쓰는 작가다. 이렇게 영화가 시작된다. - 위험한 독재자도 인터뷰했다 - 허리캐인의 눈이 어디이죠. 허리케인에 비행기가 마구 널뛰기를 하네요. 아내의 죽음으로 14살 사춘기 아들과 7살 딸과 힘겹게 생활한다. - 아빠가 잘하고 있니? - 아빤 딴 아빠보다 잘생겼고 대머리도 아니니까 좋아요. 아들이 학교를 퇴학 당하고 새롭게 출발할 집을 찾다가 덜컥 동물원을 샀다. 동물원에서의 좌충우돌 동물원을 운영하느라고 가지고 있던 자금이 바닥난다. - 케서린이 뭘 해준 건 줄 알아? - 알거같아. - 네가 이럴줄 다 안거야. 엉..

영화 이야기 2022.02.19

약물중독자 집사를 베스트셀러 작가로 바꿔준 ‘길냥이 밥’

출처 : 에포크타임스 (2020년 6월 20일) 마약중독자였던 집사를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로 바꿔준 고양이가 무지개다리를 건넜다. 작가 제임스 보웬은 16일(현지시간) 페이스북을 통해 반려묘 밥(Bob)의 죽음을 알렸다. 제임스 보웬은 지난 2007년 마약에 중독돼 영국 코벤트 가든에서 노숙 생활을 했다. 그러던 중 다친 고양이 밥을 발견하고 그와 함께 생활하게 된다. 둘은 길거리 연주에 동행했고 사람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동네 유명인사가 됐다. 이후 제임스는 밥과의 일상을 책으로 엮은 ‘내 어깨 위 고양이 밥’을 출판했다. 해당 책은 전 세계 40여 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돼 800만 권 이상 판매됐으며 2016년 영화로도 제작됐다. 영화에서 고양이 밥은 직접 출연해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기도 했다..

영화 이야기 2021.12.18

내 어깨위에 고양이1 (넷플릭스)

YouTube에 길냥이 밥 주다가 200억 벌고 인생 역전한 노숙자 ~ 이렇게 소개된 영화이다. 고양이를 만나 노숙자에서 200억 부자가 된 실화 이야기. 길 고양이와 함께 한 후 모든 게 달라졌다! 약물 중독과 싸우는 거리의 뮤지션. 우연히 만난 고양이와 같이 거리 공연을 시작한 후, 그의 삶에 한 줄기 햇살이 비치기 시작한다. 감독 : 로저 스포티스우드 각본 : 제임스 보웬, 팀 존, 마리아 네이션 출연 : 루크 트레더웨이,루타 게드민타스, 조앤 프로갯, 안토니 해드, 대런 에번스, 베스 고더드, 니나 와디아 장르 : 영국 작품, 실화 바탕 영화, 도서 원작 영화, 드라마 장르 관람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줄거리 : 노숙자로 1년을 지내면 노숙자 생활이 너무 편해서 다시 일상생활로 돌아오기가 쉽..

영화 이야기 2021.12.17

초콜렛

내용 : 딸과 함께 프랑스의 작은 마을로 이사한 비아. 사순절 기간에 초콜릿 가게를 연 그녀는 전통에 집착하는 마을 시장의 미움을 사게 된다. 하지만 비안의 초콜릿을 찾는 사람들은 늘어만 가는데. 감독 : 라세 할스트림 각본 : 로버트 넬슨 제이컵스 출연 : 줄리엣 비노쉬 조니 뎁 레나 올린 주디 덴치 앨프리드 몰리나 피터 스토메어 캐리앤 모스 레슬리 카롱 존 우드 휴 오코너 장르 : 로맨틱 코미디 영국 작품 영화. 도서 원작 로맨스 영화 코미디 블록버스터 코미디 관람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 처음 이영화를 보려고 생각했던 것은 줄거리를 읽고 어떻게 전개 될지 궁금해서였다. 하지만 영화를 보다 보니까 너무 말도 안되는 상황에 중간쯤 보다가 보는 것을 접었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서 이런 저런 영..

영화 이야기 2021.11.17

날아라 허동구

출처 : 넷플릭스, 글 : 조이뉴스 (2007.09.26 ) 유쾌하고 감동적인 가족영화 영화 는 실제 발달장애 아이를 둔 어머니의 실화를 담은 대만소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영화다. 때문에 각본에는 실제 장애아들의 삶과 그 어려움이 잘 반영돼 있다. 장애라는 이유로 정상인들의 세계에서 조금씩 밀려나는 아이 허동구와 이를 안타깝게 바라보며 무엇이라도 해보려는 부모의 사연이 영화의 뼈대를 이룬다. 하지만 는 이를 신파적으로 풀어내지 않고 건강한 가족코미디로 풀어낸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영화는 소박하고 예쁘다. 눈에 띠는 사건이나 기억에 콕 박히는 인물은 없지만 대신 건강한 매력으로 관객을 사로잡는다. 때문에 영화는 온 가족이 함께 보기에 무난한 선택이 될 만한 작품이다. 영화의 주인공은 발달장애로 IQ가 ..

영화 이야기 2021.10.0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