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통신 3사가 각자 커넥티드 카 기술 개발과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커넥티드 카란 ICT 기술로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이를 기반으로 인포테인먼트(정보오락) 기능도 사용할 수 있어
'달리는 스마트폰'
이라고도 불린다.
커넥티드 카 안에서는 음성명령으로 전화하고 지도를 찾을 수 있다.
굳이 스마트폰을 보지 않아도 뉴스, 날씨, 실시간 교통정보 등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 SKT, T맵·UAM 등 자율주행기술 투자.
커넥티드 카를 구현할 때 차량 내 통신망 구축은 반드시 필요하다.
통신 3사가 커넥티드 카 산업을 주요 미래 사업으로 간주하는 건 이런 이유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커넥티드 카 산업과 관련해 자율주행 내비게이션 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T맵이 대표적인 사례다.
SK텔레콤은 차량사물통신기술(V2X)을 T맵에 적용해 전방 차량 급정거 알림, 긴급차량 알림, 고속도로 전방 갓길 정차·장애물 알림을 할 수 있게 서비스를 고도화했다.
최근에는 고정밀 지도(HD맵)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SK텔레콤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모빌리티 간 연계,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관련 통신망도 연구하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5G 이동통신 등을 기반으로 지상과 비행체의 통신 등에 대한 연구개발에 돌입했다"
며
"SK텔레콤은 CEO 직속으로 UAM 사업 추진 태스크포스(TF)를 만들고, 사내에서 기술·인프라, 전략, 사업개발, 파트너십을 담당하는 주요 임원들을 TF로 발령냈다"
고 말했다.
■ KT·LGU+, 기술 구축 잰걸음
KT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4 이상의 완전자율주행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를 완성시킨다는 게 KT의 계획이다.
지난 2월에는 자율주행 플랫폼 전문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손잡고 자율주행 모빌리티 플랫폼과 관제 시스템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KT는 고정밀측위(RTK), 정밀지도(LDM) 등 자율협력주행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을 관제 플랫폼에 접목할 예정이다.
실제 KT의 기술이 적용된 사례도 있다.
KT는 제주도 주요 도로에서 차량용 네트워킹 기술 통신을 바탕으로 C-IT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파트너십을 점차 확대해나가며 커넥티드 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현재까지 기아차, 쌍용차, 푸조, 시트로엥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커넥티드 카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통신·인포테인먼트 기술 투자도 늘리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한불모터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커넥티드 카 통신·인포테인먼트 분야 협업 관계를 맺었다.
이후 양사는 DS의 전기차 'DS 3 크로스백 E-텐스' 모델에 커넥티드 카 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했다.
DS 3 크로스백 E-텐스에 적용된 LG유플러스의 통신·인포테인먼트 기술은 실시간 교통정보, 내비게이션을 포함해 전화·날씨·문자 확인,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홈 IoT 연계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