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인간 관계를 망치는 3가지 행동 >
성인으로서 내가 원하는 건강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관계의 기술이 필요해진 때가 오기도 한다.
살아가면서 만나는 모든 이들과 우리는 ‘관계’를 맺는다.
도중에 관계가 끊어지기도 하고 유지되기도 하면서 일정 부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관계에 필요한 기술들은 대부분 부모나 주 양육자, 미디어, 사회생활 등을 통해 터득한다.
도움이 되는 것들도 있지만, 간혹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들도 있다.
성인으로서 내가 원하는 건강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관계의 기술이 필요해진 때가 오기도 한다.
타인이나 주변 환경에 휘둘리지 않고 스스로 더 나은 관계를 만들어가는 방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더 나은 관계를 위해 피해야 할 행동들, 미국 심리학 전문 매체 ‘사이콜로지투데이(Psychology Today)’에서 소개했다.
1. 잘못에 책임감 대신 상대방을 비난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못된 관계를 만들어내는 데 자신이 어떻게 일조하는지 보다는 상대방의 행동, 자신이 생각하는 그 사람의 의도, 상처받은 감정에 대해 훨씬 더 많이 생각한다.
하지만 상대방에게만 초점을 맞추다 보면 해결책이 없다.
그보다 자신의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면, 보다 생산적인 방법으로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힘은 상대방이 아니라 자기 자신 안에 있다.
2. 상대방도 자신과 같은 생각이라 여긴다.
자신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투사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인지해야 한다.
투사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타인의 것으로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한 행동이 어리석다고 여겨졌을 때 동료들 또한 자신을 멍청하다고 여긴다고 착각한다.
물론 그러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 당신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을 갖지 않는다.
상대방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가 없다.
다른 사람도 자신의 생각과 같을 거라고 여기면서 스스로 깎아내리는 일은 피해의식을 만드는 결과가 된다.
3. 말을 지어내고 사실로 취급한다.
상대방과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말은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다.
상대방과 이야기를 통해 확인하기 전까지, 그들에 대한 이야기 중 무엇이 진실인지 알 수 없다.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어떤 의도를 가졌는지, 왜 그런 방식으로 반응하는지 등등, 그들에 대한 것이라면 그 어떤 것도 물어보지 않는 한 알 수 없다.
이것이 바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는 상대방과 확인하지 않은 채 믿어버리는 관계의 실수다.
이런 행동으로 인해 당신은 상처받고, 화나고, 불안해진다.
그리고 이 때문에 상대방과 멀어지게 된다.
상대방을 이해하려면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 어제 대공원 정자에 갔는데 어떤 아주머니 한분이 앉아계셨다.
여기 저기 돌아다니면서 책을 다 읽자고 생각해서
정자에서 책을 읽을 요량으로 사람이 없는 정자를 찾고 있었는데 없었다.
아주머니가 말을 하는데 말씀이
"온전히 자신만을 위해서 살고 싶습니다.
자신에게 투자하고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살고 싶어요.
그래서 탁구도 치고 수영도 합니다."
아주머니의 말씀이 이해는 되었지만 조금은 안됐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을 위해 투자하는게 탁구와 수영이라니 ~
좀 그랬다.
예수 믿은지 얼마 안됐을 때.
그때는 세상 가치관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스스로에 대한 콘트롤이 잘 안될때였다.
주일학교 중고등부 교사로 봉사하고 있었다.
여름방학 때 중고등부 수련회에 갔을 때 울산대학교 교수님이 강의를 하셨다.
"성경책을 읽었습니다.
집에서 학교까지 통학하는 거리가 길어서 버스를 한시간 정도 타고 다녔어요.
그 시간에 성경책을 읽었어요.
믿음이 있어서가 아니라 인류 최고의 베스트셀러 잖아요.
한번쯤은 읽어야 할 것 같았어요.
그러다 믿음이 생겼고 예수를 믿게 됐어요.
그런데 여러분 ~ 여러분은 자신을 위해 살고 있나요?
아니면 다른 사람을 위해 살고 있나요?"
처음 들어보는 질문이었다.
우리가 우리를 위해서 살까?
아니면 다른 사람을 위해 살까?
그런게 아니고 그냥 태어났으니까 사는거 아닌가?
어렸을 적에 엄마한테 뭐 해달라고 해서 안해주면 이렇게 말했었다.
"왜 낳았냐고, 낳았으면 책임을 져야지."
"누가 태어나라고 했어? 니가 태어났잖아."
교수님은 우리는 자신을 위해 사는 것 같지만 실은 다른 사람을 위해 사는 것이라고 했다.
신선한 충격이었다.
한번도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생각해보니까 맞는 것 같았다.
아주머니가 왠지 안되어 보였다.
자신을 위해서 열심히 하고 싶은거 하고 산다고?
그럼 남는게 무얼까?
생각난다.
여상 1학년 담임할 때 정자 산골짜기에서 다니던 귀여운 여학생이 하던 말.
"우리 엄마는 엄마가 시키는거 하기 싫다고 하면 이렇게 말해요.
몸뚱이 애껴서 뭐할라고?
애껴봐야 죽으면 다 썩어질긴데 ~
쓸수 있을 때 부지런히 애끼지 말구 써야지."
그런 몸뚱이를 위해서 탁구치고 수영하는게 자신을 위한 최고의 투자라니 ~
또 이런 이야기를 했다.
친구와 사이가 틀어져서 친구가 밖으로 안불러줄때면
"혼자 다니지 뭐. 혼자 다니는게 어때."
그건 관계가 소원해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소원해질까봐 두려워하면서 친구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은 진정한 친구가 아니다.
그건 혼자 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벗어나기 위한 방패일 뿐이다.
아주머니가 기다리는 사람들이 왔다.
4~5명이었는데 모두들 아주머니하고 진정한 관계를 맺어갈 수 있는 사람들로는 보이지 않았다.
당분간은 함께 하겠지만 친구로 계속 남아 있을런지는 모르겠다.
인생에 진정한 친구란 단 한명만 있어도 족하다고 했다.
예수님은 우리의 진정한 친구가 되어 주신다. ◑.
728x90
반응형
'Retirement life of JINNSS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쉼표를 향한 수다삼매경 3 (3) | 2023.06.13 |
---|---|
인생 쉼표를 향한 수다삼매경 1 (0) | 2023.06.11 |
착각 (2) | 2023.05.29 |
오월의 여왕 장미 (0) | 2023.05.22 |
몰입 (1)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