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example.com/url/to/amp/document.html"> 참좋은현상 5분 바로 밥 누룽지 가마솥 손잡이형 2인용, 800ml, 은색 + 검정색, 1세트"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수서 지하철 역에 있는 시
본문 바로가기
소설/City life of JINNSSAM

수서 지하철 역에 있는 시

by 영혼의 닻을 찾아서 2024. 8. 30.
728x90
반응형

< 수서 지하철 역에 있는 시 >  

 

 글자로 쳐서 올릴까 하다가 폰으로 찍은 그대로 올리려고 하니 ㅋㅋㅋ 본인의 이쁜???얼굴이 드러나서 글자로 쳐서 올린다. .

혹시 저작권 머시기 할까봐 잘모르지만 문제가 생기면 바로 내릴 것이다.

 그런데 공공 장소에 걸려 있는 시는 괜찮지 않을까?

 잘 모르겠다.

 

< 쪽파를 심다 >  

                                                화정 손경숙(2021 시민 공모작)

 저 위 골목 끝 오두막집 할머니

 손바닥만한 텃밭에 쪽파를 심다 말고

 주머니 속 전화기를 만지작거리신다.

 

 산그늘 바람에 일렁이는 날에는

 무량 없이 쓸쓸해진다는

 안부 전화에 답장도 없는 아들

 전화를 기다리시는 눈치다

 

 까맣게 풀물 든 손톱이 다 닿도록

 일만 하던 꼬부랑 할머니

 유학까지 다녀온 외아들이

 쪽파김치를 그렇게 잘 먹는다며

 꼭꼭 눌러 모종을 내고 있다.

 

 

< 이팝나무 >

                                                       황경희(2021 시민 공모작)

 하얀 꽃송이

 탐스럽게 앉아 있다.

 

 집으로 날 불러 앉혔던

 이밥 한 사발

 소복하게 앉아 있다.

 

 밥 먹으라 나를 부르던

 엄마 목소리

 따뜻하게 앉아 있다.

 

 

 < 강버들 >

                                                     황서연(2021 시민 공모작)

 강버들의 고개가 차분히 강물에 닿았다.

 그저 바람이 부는 대로 닿았다.

 

 일렁이는 바람결에 몸까지 비운 채

 내가 너의 말에 공감하며

 끄덕였던 고갯짓처럼,

 강버들은 한 순간도

 강물에 공감하지 않은 적이 없다.

 

 세상 모든 게 변해

 마냥 흘러가고 있는데도

 강버들은 한결같이

 강가 주변을 아득히 메우며

 푸르게 피어오른다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

 굳이 따로 해설이 필요없는 좋은 시들이다.

 

 쪽파를 심다는 평생 아들을 바라보면서 살고 계시는 우리 할머니들의 애잔한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이팝나무에서는 봄이면 가로수로 무심히 보아 넘기던 꽃나무를 남다른 표현법으로 엄마의 마음을 잘 표현하였다.

 

  강버들 ~

  jinnssam에게도 특별한 의미가 있는 버들을 모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어디서인가 본 것 같다. 1%의 천재적인 특별한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10%의 사람들이 실제로 이루어가고 그 나머지는 잉여인간이라고 ~ 그렇게 보면 jinnssam도 잉여 인간 중의 하나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말하고 싶다. 10%의 사람들이 이루어 간 것을 잉여 인간들이 사용하여 대중화 시키면 역사를 바꾼다고.

 결국 보통의 잉여 인간들이 역사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보통의 잉여 인간들처럼 공감하면서 모락모락 피어 오르는 강버들은 그렇게 역사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소설 > City life of JINNSS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물세살의 수채화 2 - 2  (0) 2023.02.26
City life of Jinnssam  (0) 2022.10.23
진달래 ~ 사쁜이 즈려 밟고 ~  (0) 2022.04.13
꽃비 ~ 열여덟살꽃비  (0) 2022.04.12
벚꽃 터널, 밀면 그리고 ...... 1  (0) 2022.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