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물 탐구 9

우리나라 첫 노벨문학상 수상자 탄생 ~한강

"한강, 노벨상 연락에 예상못해…아들과 저녁식사 평범한 하루" 24.10.10(연합뉴스에서) 스웨덴 한림원 관계자 통화 전언 ~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에 소설가 한강 (서울=연합뉴스) 소설가 한강이 한국 작가로 최초로 10일 노벨 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16년 5월 한국 작가 최초로 세계 3대 문학상인 '맨부커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이 서울 마포구 서교동 한 카페에서 열린 신작 소설 '흰'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10.10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10일(현지시간)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소설가 한강(53)이 수상 연락을 받을 당..

인물 탐구 2024.10.11

소설보다 더 소설 같은 박순애 전도사 이야기 (3)

‘찔레꽃 그 여자’의 저자 박순애 전도사  [목회자사모신문] ‘찔레꽃 그 여자’의 주인공 박순애 전도사(의정부교도소 교정위원, 분당제일교회)가 제57회 법의 날을 맞아 40년간 교정·교화 활동과 수용자 대상 6000시간 이상 교정(정신)교육 및 교도소 및 국내외 소외 계층에게 20억 이상의 기부를 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국민포장) 수훈의 영예를 안았다.  법의 날은 법의 존엄성을 되새기고 법치주의 확립의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기념일로 정부는 1964년부터 매년 기념행사를 열어오고 있다. 매년 4월 25일이 법의 날이지만 올해는 코로나19 시상식이 연기되어 오다 지난 6월 24일 오전10시 정부 과천청사 법무부 대회의실에서 행사가 개최됐다. 이에 본지에서는 박순애 전도사를 만나 이번에 국..

인물 탐구 2024.07.04

이어령교수 별세

출처 : 위키 백과에서 이어령(李御寧, 1933년 12월 29일~2022년 2월 26일)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언론인, 저술가, 대학 교수를 지낸 국어국문학자이며, 노태우 정부에서 문화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본관은 우봉. 호(號)는 능소(凌宵)이다. 배우자는 문학 평론가인 강인숙이며, 서울 관악구에 이어령의 '령'과 강인숙의 '인'을 딴 영인문학관을 운영하였다. 생애 충청남도 아산 출생이다. 1956년 서울대학교 국문학 학사와 1960년 서울대학교 국문학 석사, 1987년 단국대학교 국문학 박사 등을 취득하였다. 경기고등학교 교사, 단국대학교 전임강사를 지냈으며, 1960년부터 서울신문, 한국일보, 경향신문, 중앙일보 등에서 논설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67년부터 1989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

인물 탐구 2022.02.28

배우 오영수, 78세에 글로벌 스타 되다

출처 : 문화 일보(22.1.10) 2003년 김기덕 영화 ‘봄 여름…’ 출연 연기 인생 마지막 획 긋는 작품 여겨 19년 뒤 ‘오징어게임’으로 월드스타 1968년 연극 데뷔 200여편 출연해와 2009년 ‘선덕여왕’ 월천대사로 유명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에서 ‘오일남’ 역을 맡았던 배우 오영수(78)가 세계 최고 권위 시상식인 미국 골든 글로브(Golden Globe)에서 남우조연상을 받으며 연기 인생 정점에 섰다. 그는 최근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2003년 김기덕 감독의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을 “배우 생활의 획을 긋는 마지막 영화로 생각했다” 고 했다. 그때 그는 59세였다. 그런데 19년이 흐른 뒤, 여든을 바라보는 나이에 당시엔 생각해볼 수 없던 상까지 받으며 글로벌..

인물 탐구 2022.01.11

유럽에서는 교과서 나올 정도로 유명한데 정작 우리가 잘 몰랐던 한국인

출처 : 에포크타임스(2021년 10월 21일) 우리나라에서는 잘 모르는데, 먼 나라 노르웨이에서는 교과서에 나올 정도로 유명한 한국인이 있다. 노르웨이를 비롯한 독일 등 여러 유럽 국가에서도 미스터 리(Mr. Lee)로 통하는 한국인 이철호다. 어린 소년이던 이철호는 한국 전쟁 때 포탄 파편을 맞고 다리를 크게 다쳤다. 당시 한국 의료 기술로는 고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었다. 한국에 파견을 왔다가 소년 이철호를 안타깝게 여긴 노르웨이 의사가 치료를 위해 노르웨이행을 권했다. 이철호는 그렇게 17살이던 1954년, 난민 자격으로,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노르웨이 땅을 밟았다. 도착한 노르웨이에서는 다리 수술만 43번을 받았고 간신히 죽음의 문턱을 넘었다. 하지만 낯선 타국에서 무일푼에 말도 전혀..

인물 탐구 2021.12.19

천재 과학자 였던 여배우

출처 : 씨네 21 (2018-06-06) 의 헤디 라마, 천재 과학자와 아름다운 배우 사이 평가절하된 여성 과학자 와이파이와 블루투스의 기초가 되는 아이디어를 처음 고안한 과학자. 이 정도 업적이라면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법도 하지만 역사는 이 발명가에게 주목하지 않았다. 대신 백설공주와 캣우먼에 영감을 준 미모의 할리우드 여배우로 그를 기억했다. 은 “나는 원래 외모가 아닌 두뇌에 관심이 많다” 며 1990년 당시 기자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았던 헤디 라마의 육성 인터뷰를 토대로 그의 인생을 되짚는 다큐멘터리다. 영화를 보고 나면 더 궁금해지는 그의 삶을 정리했다. 편견의 시작 1914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난 헤디 라마는 어렸을 때부터 발레와 피아노, 다양한 언어를 배웠지만 학교 공부에 ..

인물 탐구 2021.11.25

김형석(교육자) ~ 102세

출처 : 나무위키(2021-10-02) 인문과학 교수 한국 남성 작가 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 1920년 출생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송산리 출신 인물 실향민 조치대학 출신(창덕소학교, 평양숭실중학교, 평양제3공립중학교, 조치대학(철학과) 연세대학교 재직(명예교수) 1. 개요 대한민국의 수필가 및 철학자이자 연세대학교의 명예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시카고 대학교 및 하버드 대학교 연구 교환 교수를 역임했고 오스틴 대학교에 출강하기도 했다. 2. 생애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출생한 뒤 숭실중학교에서 윤동주와 함께 도산 안창호를 사사(師事)하였고, 1944년 일본의 명문사립대 중 하나인 조치대학 철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해방 후에 북한 지역에 공산정권이 들어서자 월남하여 1947년부터 중앙고..

인물 탐구 2021.10.20

102세 김형석 강연(21년 7월 8일)

“인생 황금기는 60~75세입니다” 102세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강연 출처 :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21. 7.8) “인생 황금기는 60~75세입니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조찬 강연 7월 8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본회 조찬포럼이 열렸다. 이날 102세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산다는 것의 의미’ 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시대의 석학이자 상수(上壽)를 넘은 원로의 현장 강연으로 동문들의 관심이 뜨거웠다. 김 교수는 국내 1세대 철학자이자 저명한 수필가다. 1920년 평안남도 대동 출생으로 젊은 시절 도산 안창호의 강연을 들었고, 윤동주 시인과 같은 반에서 공부했다. 일본 조치(上智)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에서 30여 년..

인물 탐구 2021.10.16

스티브 잡스 세상을 변화시킨 5가지 비결

스티브 잡스 떠난지 10년… 그가 세상을 변화시킨 5가지 비결 출처 : 조선일보(21.10.7) 스티브 잡스(Steve Jobs). 애플의 창업자이자 ‘혁신’ 의 대명사가 된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많지 않다. 지난 5일(현지시각)은 스티브 잡스가 췌장암으로 세상을 떠난 지 딱 10년이 된 날이다. 이날을 맞아 스티브 잡스의 가족, 팀 쿡 애플 CEO, 전 애플 디자인 최고책임자 조너선 아이브 등이 그를 기리는 추모사를 발표하고, 잡스가 남긴 발자국을 되돌아봤다. 스티브 잡스를 대표하는 말은 ‘원 모어 씽(하나 더)’ 이다. 잡스는 애플의 신제품 발표회에서 항상 이 말을 하며 세상을 놀라게 한 제품과 기술을 공개했다. 그가 떠난 지 1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실리콘밸리는 그를 잊지 못한다. 그의 기업가 정신..

인물 탐구 2021.10.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