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베이비 붐 82

또순이 어렸을 적에 71 - 외갓집 책

143. 외갓집 책 외갓집에는 책이 몇권 있었다. 왜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소년 " 이란 잡지책도 있었고 몇가지 안되는 읽을거리 들이 있었다. 닥터 지바고도 있었고 또순이가 읽어도 이해 안되는 어려운 책도 있었다.. 어쩌다 외갓 집에 있게 되는 날에는 윗방에 책들을 뒤져서 마루에 펼쳐 놓고 배를 깔고 엎드려서 읽었다. " 소년 " 이란 잡지 책에 " 무지개 " 란 짧은 이야기가 실려 있었다. 내용은 모든 소년들이 어느 정도 자라면 모두들 무지개를 찾아 나선다는 것이다. 주인공도 무지개를 찾아 떠났는데 무지개를 쫓아 가다 보면 중간에 기왓장을 손에 든 소년들이 무지개라고 좋아하면서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만난다 했다. 주인공은 저런 기왓장 말고 진짜 무지개를 꼭 잡아야 겠다고 다짐하면서 눈 앞에 곧 잡힐듯 ..

또순이 어렸을 적에 70 - 자전거 배우기

142. 자전거 배우기 여름 방학. 또순이는 자전거를 배우기로 했다. 뒤에서 붙잡으라 하고 탔지만 쉽게 배워지지 않았다. 특히 처음 탈 때와 멈출 때가 힘들었다. 그래서 탈 때에는 도로가에 있는 담 위에 올라 가서 옆에 세워 놓은 자전거 위에 올라 앉아 힘껏 자전거 페달을 밟아 달리고 멈출 때는 멈추기가 힘드니까 아래동네 사정리가 보이는 산 모퉁이까지 달려서 무슨 공사인지 공사하려고 도로가에 쌓아 놓은 모래둔덕에 자전거를 넘어뜨려서 또순이도 같이 모래 둔덕으로 나가 떨어져 내리고는 하였다. 여름 방학 내내 연습한 덕에 제법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되었다. 혼자 연습하여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된 것이 무척이나 뿌듯하였다. 누가 칭찬하는 것도 아니지만 스스로가 대견한 마음이 들었다. 그걸로 끝났으면 됐을 텐데..

또순이 어렸을 적에 69 - 중학생이 되어

141. 중학생이 되어 군서면 상지리에서 옥천 읍내에 있는 옥천 여자 중고등학교를 다니기에는 너무 멀어서 물론 버스가 있기는 했지만 버스가 안오는 날도 있고 해서 외갓집에서 다니게 되었다. 외갓집에서 다니다가 토요일에 학교 끝나면 군서면 상지리 집으로 갔다. 버스가 자주 안 다니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이 걸어 다녔기 때문에 또순이도 상지리까지 걸어서 갔다. 중학생이라서 책보자기로 책을 싸가지고 다니지는 않았지만 그때 여중생의 책가방은 손잡이가 가운데 달린 한쪽으로만 열수 있는 곤색 가방으로 한쪽손으로만 책가방을 들 수 있었다. 책이 가득 들은 여학생 책가방을 한손으로만 들고 다닌다는게 여간 무겁지 않았다. 상지리는 군서면에서도 끝에 있었기 때문에 거리도 멀고 중학교 1학년 걸음이라서 옥천에서 점심 때..

또순이 어렸을 적에 68 - 입학시험

139. 입학 시험 드뎌 옥천 중학교 입학 시험. 군서 초등 학교 진학 반 아이들 모두 시험을 쳤다. 옥천 여중에는 복임이와 또순이 그리고 후보 1명, 모두 3명이 합격하였고 옥천 중학교에는 20명인가? 18명인가? 22명 인가? 합격하였다. 대전에 있는 한밭 여중이 2차라고 해서 1차로 옥천 여중 치고 2차로 한밭여중 원서를 사러 사람을 보냈더니 1차에 시험을 끝냈다고 하였다. 그만큼 입시에 대한 정보도 없었고 누구인들 귀하고 귀한 아이들을 다 교육 시키고 싶지 않았을까 ! 하지만 시골에서는 먹고 사는라 바빠서 미처 아이들의 교육까지 다 돌보지 못하던 시절이었다. 이제 막 굶어 죽는 일에서 벗어 났을 때였다. 또순이는 중학교 입학 시험이 끝나고 나서 학교 가는 길을 산밑으로 가는 도로에서 강 쪽으로 있..

또순이 어렸을 적에 67 - 베이비 붐 세대에 대한 답글

138. 이땅의 베이비 붐 세대 에 대한 답글 - 2002/04/13/11:48 서화동우회 까페에 올렸던 글임 세상 모든 일이 긍정적이냐 아니면 부정적이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서 이 땅의 베이비 붐 세대란 글 에 답을 써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살아 온 날들이 앞으로 살 날 보다 많지만,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삶이 되어 보려 애쓴다. ---------------------------------------------------------------------------------------------------------------------------------- 책 보자기 어깨에 질끈 각개 매고 ( 그래두 학교는 다녔지! ) 동무들과 학교 가는 길에는 나뭇잎 동동 떠 있..

또순이 어렸을 적에 66 - 아 ~~~어머니!!!

137. 아 ~~~어머니!!! 2003/09/09/09:24 서화동우회에 올린 글 산에 버섯을 따러 갔던 77세의 할머니가 행불되었다는 정보가 올라왔다. 같은 마을사람 둘이서 갔는데, 산에서 서로 헤어져 한 분은 집으로 돌아왔지만 다른 길로 해서 돌아왔겠지 했던 할머니는 이튿날까지 돌아오지를 않은 것이다. 온통 비상이 걸렸다. 마을 주민들은 물론, 접해 있는 인근 군(郡)의 소방대원, 경찰 등 수백 명이 동원됐다. 며칠 간 온산을 샅샅이 뒤졌지만 찾을 수가 없었다. 6일째 되는 날 할머니는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저수지에서 익사체로 발견됐다. 산중에 있는 기도원 사람들이 발견하여 신고를 한 것이다. 저수지가 있는 곳은 그 큰산에서도 바위절벽이 가장 많아 험한 지역으로 사람들이 잘 가지 않는 곳이란다. 할머..

또순이 어렸을 적에 64 - 고구마

135. 고구마 2001/11/02/11:23 눈발이 희끗 희끗 흩날리는 저녁 무렵. 퇴근하여 큰 동서와 모처럼 술자리를 가졌다. 사는 집이 가까운지라 가끔 한잔 술을 나누곤 했는데, 근래에는 서로 바빠 오랜 만에 만든 자리 였다. 약속 장소로 가다 보니 길거리에서 훨훨 타는 장작 불로 먹음직스럽게 고구마를 굽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학비에 보태려는지 학생인 듯한 고구마를 굽고 있는 두 사람의 얼굴은 숯 검정이 묻은 채 불빛으로 벌겋게 보였다. 조촐한 안주에 소주 잔을 주고 받으며 자연스레 어렸을 때의 고구마가 화제가 되었다. 10년 연배로 60대를 바라 보는 동서 인지라 가슴에 묻어 둔 얘기가 많았다. 그 시절 고구마는 주식이었고, 굶주린 배를 달래는 수단이었으며 군것질 대용이었다 한다. 특히, ..

또순이 어렸을 적에 32 - 군서 초등 학교 가는 길

86. 군서 초등 학교 가는 길 새벽 6시에 학교 가기 위해 신작로를 걸어가면 산 기슭을 따라 안개가 신작로까지 내려와 있다가 새벽 빛에 쫓기듯 밀려 나기 시작했다. 또순이는 아무도 없는 신작로를 부지런히 걸어서 아래 동네 영순이와 차숙이를 만나서 함께 학교를 갔었다. 야트막한 산 기슭 끝을 돌아서면 아래 동네가 보이는데 그곳에 신작로 아래 쪽으로 강을 막은 보가 시멘트로 사람이 다닐 수 있을 정도의 넓이로 만들어져 있어서 종종 그리로 다녔었다. 어느 날 아침 역시 그리로 가다가 혼자 생각에 ' 이길로 가는 게 편하지만 중학교 합격할 때 까지 안 다녀야지. 중학교 합격하면 다닐래! ' 중학교 합격 발표가 나고 드디어 그길로 가면서 생각했다. ' 중학교 합격 했구나! 합격해서 이길로 가니까 참 좋다 . '..

또순이 어렸을 적에 17 - 주인 집

50. 행려병사자 또순이 어렸을 적에는 길에 가끔가끔 사람들이 쓰러져 있었다. 시장이나 골목이나 이런 곳에 저녁에는 술 취한 아저씨들이 쓰러져 있었고 새벽에는 길에서 자던 사람들이 의식이 없이 누워 있기도 하였다. 보릿고개에는 먹을 게 없어서 사람들이 부황 떠서 굶어 죽던 시절이었다. 지금 아이들은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일일 것이다. ‘ 왜? 라면 먹으면 되지? ' 그 시절에는 아직 라면이 나오던 시절이 아니다. 혹여 나왔더라도 삼양라면은 서민의 음식이 아니라 여유 있는 집의 먹기 어려운 식품이었다. 콩나물을 사려고 추운 새벽에 집을 나섰는데 가게가 있는 도로 옆에 나이 지긋한 뚱뚱한 할머니 한 분이 누워 계셨다. ' 아줌마 저기 할머니가 누워 계셔요! ' 가게 주인에게 이야기했지만 아주머니는 내다보는 ..

또순이 어렸을 적에 16 - 담양 엄마 집

47. 담양 엄마 집 여름 방학이 되어 막내 이모랑 담양 엄마네 집에 갔다. 집은 나무로 만든 집이었고 높다란 누마루에 마당에는 맨드라미와 봉선화가 피어 있었고 양철 대문에 담벼락은 호박이 열리는 호박 넝쿨이 무성한 잎사귀를 달고 덮여 있었다. 저녁 해 질 무렵 막내 이모랑 석양이, 분홍빛이 가득 채워진 너르디너른 들판 한가운데로 난 길을 따라 석양 속으로 들어 갔었다. 한참을 가다가 뒤돌아보면 동네가 옹기종기 모여 저녁 짓는 연기를 내고 있었고 또순이는 눈에 들어오는 풍경을 두 번은 볼 것 같지 않아 열심히 눈에 담았다. 호박 잎을 따오라 해서 담에 붙어 있는 호박 잎을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것으로 골라 껍질을 벗겨 갖다 주면 엄마는 밥 위에 얹어 쪄서 밥상 위에 반찬으로 올려놓았다. 호박잎에 밥을..

728x90
반응형